[목차]
1. 소득-지출분석의 기본골격과 균형국민소득의 도출과정
2.승수효과와 투자승수, 정부지출승수, 조세승수, 균형재정승수의 도출과정
1)승수효과의 의미
2)투자승수의 도출과정
3)정부지출승수의 도출과정
4)조세승수의 도출과정
5)균형재정승수의 도출과정
3. 총수요-총공급 모형에서 재정정책의 효과
4. 참고문헌
1. 소득-지출분석의 기본골격과 균형국민소득의 도출과정
일정 기간 내에 한 국가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 가치이다. 경제 내에서 소비자, 기업, 정부, 외국 경제 주체들이 최종적으로 지출한 금액이다. 이 두 개념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. 왜냐하면, 모든 지출은 어딘가에 소득을 창출하기 때문이다. 즉, 소비자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함으로써 기업의 소득이 발생하며, 이 소득은 다시 다른 소비로 이어지는 구조를 형성한다. 가계가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지출하는 금액. 기업이 자본재에 지출하는 금액. 정부가 공공재 및 서비스에 지출하는 금액. 수출(X)에서 수입(M)을 뺀 금액 (NX = X M). 이 모든 요소를 합한 것 (AD = C + I + G + NX).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경제 활동을 반영하고, 경제 전반에 걸치는 지출 패턴을 나타낸다. 균형국민소득의 도출 과정 은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시점에서 결정된다. 균형국민소득을 도출하는 과정은 다음의 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. 총수요의 결정 총수요는 앞서 언급한 다섯 가지 요소의 합으로 나타낸다.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다. 소비는 가계의 소득 및 소비심리에 따라 달라진다. 투자는 기업의 기대 수익률 및 이자율에 의해 영향을 받다. 정부지출은 정부의 정책 결정에 따라 변동한다. 순수출은 환율 및 해외 경제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 총공급의 결정 총공급은 국가 전체의 생산능력을 나타낸다. 총공급은 장기적으로 생산요소의 수와 기술 발전에 따라 결정되지만, 단기적으로는 가격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. 가격 수준이 상승하면 생산자들은 더 많은 재화를 공급하게 되고, 반대로 가격 수준이 하락하면 공급량도 줄어들게 된다. 균형점 도출 경제에서 균형국민소득은 총수요가 총공급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. 이를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. 총수요곡선(AD)과 총공급곡선(AS)을 플롯하여 두 곡선이 교차하는 점을 찾다. 교차점에서의 국…(생략)
[문서정보]
문서분량 : 7 Page
문서종류 : HWP 문서
파일크기 : 25Kb
태그(#) : #기초거시경제론 #소득 #지출 #기본골격 #소개하고 #균형국민소득 #도출과정 #그림수식 #통하여
자료No(pk) : 24129601